반응형

전체 글 368

8월9일 돈버는 경제뉴스_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반도체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뉴스입니다. 한은에서 금리인상 빠르면 8월에도 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네요. 금리 상승하면 대출금리는 즉각적으로 올라갈테고, 그만큼 빚투 하는 분들은 조심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반면 금융,보험주들은 NIM 이 올라가면서 수익이 개선될 예정이네요. 벌써 오늘부터 주요 은행주는 오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에 대해서는 뭐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이미 주요 공산품들이나 농산물들의 가격은 급상승하고 있죠. 식품,소비재들의 상승이 예상됩니다. 가격이 오르는 걸 막을 수는 없으니, 그만큼 수혜를 보는 기업들을 매수해서 헷징을 하는 게 바람직해 보입니다. 가만히 앉아서 물가상승 탓만 하고 있는 것 바보짓입니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D램이 DDR5로 빠르면 연말부터..

8월9일 바이오,제약뉴스_백신개발, SK바이오,mRNA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 입니다. 월요일이네요 ㅎㅎㅎ 기운내세요! 2.2조원 백신개발·생산 지원 '누가 수혜'…SK바이오 첫 대상 될.. (에너지경제신문 2021/08/08) 보유어 : 녹십자, SK l 기자 : 유예닮 사이토카인 계열 면역항암제의 현황과 미래 (헬스오 2021/08/08) 보유어 : 젠자임, 화이자 l 기자 : 정종호 FDA, 사노피의 폼페병 치료제 '넥스비아짐' 승인 (뉴스더보이스 2021/08/07) 보유어 : 젠자임, 폼페병, 효소대체요법 l 기자 : 주경준 길리어드 계열 카이트파마, 아피아바이오에 최대 8억7500만달러 .. (헬스오 2021/08/07)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정종호 C19 '한국산 1호 백신' 개발‥백신 5대 강국 도약 추진 (보건타임즈 20..

8월6일 바이오,제약뉴스_한미약품,mRNA,

안녕하세요 오늘의 제약뉴스입니다. :-) 무더운 날씨에 건강들 조심하세요. ‘5년간 2.2조 투자’ 약속받았지만…여전히 더딘 백신 개발 협.. (이데일리 2021/08/05) 보유어 : 녹십자, 화이자, SK l 기자 : 김영환 GC녹십자·한미약품,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에 '열일' (매일경제TV 2021/08/05) 보유어 : 헌터라제, 녹십자, 헌터, SK l 기자 : 진현진 mRNA 전쟁, 셀트리온도 참전…치열해진 경쟁에 백신 개발 빨라질.. (핀포인트뉴스 2021/08/05) 보유어 : 녹십자, 화이자, SK l 기자 : 김예슬 고형암 신약 개발 '지바이오로직스' 추가 자금 수혈 (팍스넷뉴스 2021/08/05)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최양해 녹십자, 코로나 백신 CMO 계약 기대…투자..

8월5일 돈버는 경제뉴스_삼성전자, SK이노베이션, CJ제일제당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뉴스 입니다. 코로나 변이가 계속 유행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은 기본이고 일상에서도 조심해야 할 듯 하네요. ㅎㄷㄷㄷ 백신 맞아도 돌파감염이.. 무섭습니다. 결국 이렇게 무차별적인 탈석탄/원자력의 결과가 전력수급불안과 전기료 인상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자들이 허울좋은 말만 할 것이 아니라 정말 제대로 검증을 해보면서 단계적으로 해봤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정말 정치인들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어보입니다. 코인은 계속 말씀 드렸지만, 결국 가치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크게 투자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투자 차원에서 정말 10% 이내 정도면 아주아주 충분해 보입니다. 이제 모든 것이 구독경제로 가는군요. 테슬라의 자율주행 서비스에 이어, 보험도 구독..

8월5일 바이오,제약뉴스_희귀질환, 스푸트니크,mRNA 국산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 공유 드립니다. GC녹십자랩셀 자회사 그린벳, 마미닥터와 업무협약 (헬스포커스뉴스 2021/08/05)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장영식 ‘희귀질환 파이프라인’ 키우는 제약바이오업계 (이투데이 2021/08/05) 보유어 : 헌터라제, 녹십자, 헌터 l 기자 : 박미선 Big5 제약사,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율 급감 (의약뉴스 2021/08/04)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송재훈 EU 집행위, 스푸트니크V 산마리노 백신접종 증명서 인정…승인 .. (핀포인트뉴스 2021/08/04) 보유어 : 이수앱지스, 화이자, SK l 기자 : 김예슬 글락소-젠자임-얀센-노바티스, 8월 13품목 특허목록 삭제 (뉴스더보이스 2021/08/04) 보유어 : 젠자임, 젠자임코리아 l 기자..

8월4일 돈버는 경제뉴스_델타감염,인플레이션, 삼성전자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기사입니다. 델타, 델타플러스 계속해서 변종들이 나오고 있네요. 사회적 거리두기도 한계인 것 같고, 결국은 백신 접종과 거리두기를 함께 해야 겨우잡히지 않을까 합니다. 백신 도입이 제일 중요합니다! 폭염에 요새 수박값이 엄청 비싸다더라구요. 맛은 있는데.. 다 비쌉니다. 유가도 어느새 70 달러룰 웃돌고 있어, 주요소 가보시면 깜짝 놀라실 겁니다. 이렇게 모든게 다 오르고 있으니, 결국은 생필품 값도 오르게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수혜보는 회사들을 잘 찾아보셔야 할 것 같네요. 밀가루, 스팸, 참치캔 등등.. 식음료주 동원이나 CJ 제일제당 같은 회사의 판가 인상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물가인상을 막을 수 없다면, 거기에 편승해서 물가 상승만큼 어디에선가 플러스 알파만큼 ..

카테고리 없음 2021.08.04

8월4일 바이오,제약뉴스_mRNA 백신, 화이자,모더나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입니다. !!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 “국내 mRNA 백신 개발 초기 단계…장기적 지원 필수” (약업신문 2021/08/04) 보유어 : 녹십자, SK l 기자 : 김정일 종근당 수탁제조 ‘네오칸데플러스정’ 보험급여 중지 해제 (약업신문 2021/08/04) 보유어 : 녹십자 5대 제약사 합산 분기수출액 1719억, 녹십자가 절반 (의약뉴스 2021/08/03)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송재훈 GC녹십자랩셀 자회사 그린벳, 마미닥터와 반려동물 펫푸드 사업 .. (베타뉴스 2021/08/03)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강규수 녹십자, 세포 치료제에 진심…계열사 합병 시너지 극대화 (아시아경제 2021/08/03)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박형수 먹는 ..

7월 투자 수익 결산 (5 / 120개월) (주식, 배당, P2P 이자, 애드센스, 기타)

안녕하세요 벌써 또 한 달이 지나 7월을 마감해야 할 시기가 되었습니다. 기존에도 말씀 드렸지만 120개월, 딱 10년 동안 경제적 자유를 이뤄보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시작한 프로젝트인 만큼 정리하는 게 귀찮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그래도 의지를 갖고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그런 분은 별로 안 계시겠지만 ㅋㅋㅋ 지난 달의 수익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있으시다면, 아래 링크 참고 해주세요. https://moneyfree.tistory.com/198?category=1208972 6월 투자 수익 결산 (4 / 120개월) (주식, 배당, P2P이자, 애드센스,애드핏 등등) 안녕하세요 최근 안 그래도 바쁜데, 소위 말하는 블태기 ( 블로그+권태기? 의 합성어인 것 같습니다.) 가 찾아와 매사가 귀찮아지는 상황입..

8월3일 돈버는 경제뉴스_백신가격인상, 델타변이, 반도체호황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뉴스입니다. 델타변이 확산으로 인한 전세계 백신 확보 경쟁이 심해졌네요.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화이자, 모더나는 가격을 올리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비용 증감이 지속되고 있네요. 길게보면 이런 기업들의 수익이 늘어나면 결국 전세계의 부가 미국으로 오고, 미국의 법인세 인상에 따라 결국 미국으로 돌아갑니다. 최저임금의 득과 실에 대해서 참 고민을 많이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최소한의 삶을 위한 인상은 필요하지만, 중소기업들은 회사가 망한다고 난리죠. 또한, 무인 키오스크 들의 활성화로 인한 실직도 예상됩니다. 결국은 임금 인상에도 영향이 없을 정도의 회사만이 살아남겠죠. 경쟁력 강화가 중요합니다. 제조는 스마트 공장이나 아니면 깊은 헤자를 만들어 가격을 ..

8월3일 바이오,제약뉴스_ 코로나백신 가격인상 !!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입니다. 화이자,모더나가 백신 가격인상에 들어갔네요. 역시. 자본주의 입니다. 화이자/모더나 주가 많이 오르겠네요. ^^; 이래서 백신을 포함한 의학품의 주권이 필요한 겁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단순 카피약이 아니라 정말 R&D를 하는 기업들을 정부 차원에서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카피약의 허가를 제한하고 대신 많은 쉐어를 먹는 대신 약가를 지금보다 더 낮게 책정해야 하겠죠. 그래야 박리다매를 통한 일정 부분의 마진을 확보하면서 건강보험재정의 절약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절약된 재정은 다른 보장 범위를 확대하거나 혹은 일정 부분 재투자를 하는 것도 좋아 보이구요. 건보 재정의 적자폭을 줄인만큼 그 돈을 R&D 에 투자하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