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68

금리상승 & 인플레이션 수혜주_KB금융, CJ제일제당

안녕하세요 오늘 2가지 저에게는 반가운(?) 기사가 났습니다. 사실 투자 관점에서의 반가운 소식이지, 제가 갖고 있는 대출과 생활비 지출 측면에서는 그다지 반가운 소식은 아닙니다. 그래도 더 벌어서 더 쓰자는 생각을 갖고 있으므로 그냥 그러려니 하겠습니다. 우선 드디어 국내 은행 순이자마진(NIM : Net Interest Margin) 이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예전 KB 은행을 분석하면서 설명 드렸지만, 간단히 말해 금리가 오를 때 은행들은 대출금리는 바로바로 올리지만, 예금금리는 아주 천~천히 올리죠. 그래서 예금/대출금리의 차가 이익으로 잡히게 됩니다. 최근 국내 금융지주들의 주가가 상승하긴 했지만, 대부분 본연업무인 은행에서의 이자마진이 아니라, 자회사인 증권, 생명보험, IPO 수수료 등에서의..

6월11일 돈버는 경제뉴스_금리인상,수소경제,인플레이션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 정보입니다. 금리인상 얘기는 이제 오늘 내일 얘기도 아니죠. 우리 나라 뿐만 아니라 캐나다 같은 곳은 이미 선제적으로 통화완화 정책을 줄여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하반기 금리 상승에 대해 얘기하고 있으니, 부채 많으신 분들은 조심하셔야 겠습니다. 반면 금리 인상 수혜주에 대해서는 고민 해보시면 어떨까요? https://moneyfree.tistory.com/44 주식 3분 리뷰_KB금융(주식 & 은행) * 절대절대 투자 권유 아니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처음에 주식 투자를 시작 했을 때부터 갖고 있는 KB금융에 대해 남겨보고자 합니다. 그때도 말씀 moneyfree.tistory.com 보복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죠. 멀리서 찾을 필요 없이..

6월11일 바이오,제약뉴스_백신, 알츠하이머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입니다. 계속 백신에 대한 내용과 바이오젠 알츠하이머 신약에 대한 반발이 계속 나오네요. 모더나 백신의 청소년 확대에 대한 FDA 승인 요청은 좋은 소식입니다. 그럼 오늘도 의미있는 하루 보내세요. 1조원 투입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목표 (보건뉴스 2021/06/10) 보유어 : 유전상담 l 기자 : 홍유식 AZ백신 일시부족에 6월 예약자중 동의땐 얀센 '잔여백신'도 접종.. (동아사이언스 2021/06/10) 보유어 : LSD ‘글로벌 백신허브’ 육성 한다지만…토종 코로나백신 아직도 ‘.. (헤럴드경제 2021/06/10) 보유어 : 제넥신, SK 아세트아미노펜 해열제, 온라인 구입 안 돼요 (코메디닷컴 2021/06/10)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문세영 정부, ..

카페에 지식을 나누고 기부도 하세요_6월

안녕하세요 한 달동안 제대모 카페에 거의 1일 1글을 작성했더니 네이버에서 열심히 활동한다고 해피빈 콩을 줬네요. https://cafe.naver.com/gsk 제약회사에 대한 모든것! / 제약바이... : 네이버 카페 제약바이오 회사의 취업 등 정보공유로 건강하고 QOL세상을 위한 제약바이오 1위 멤버님들의 카페입니다. cafe.naver.com 그래서 한 달동안 모은 콩들을 기부했습니다. ^^ 3100원어치 ㅋㅋ 딱 한달치네요. 취미 생활도 하고, 기부도 하고 참 괜찮은 생활인 것 같습니다. 지난 번에도 말씀 드렸지만, 전 주로 우리의 미래가 될 아이들을 대상으로 기부를 합니다. 다들 글 열심히 쓰시고, 받은 콩들은 잊지 마시고 좋은 곳에 기부도 열심히 하세요~ 참고로, 해피빈 콩은 유효기간이 짧습..

소소한 잡담 2021.06.11

6월10일 돈버는 경제뉴스_카카오,토스,전기차, 퇴직연금

안녕하세요 오늘의 돈버는 경제뉴스 입니다. 경제정상화가 뚜렷해지고 있네요, 물가도 슬슬 올라오고, 금리와 인플레이션 수혜주는 계속 보셔야겠습니다. 고용도 양극화네요, 일자리 뿐만이 아니라 발맞추어 우리의 투자 영역도 새로운 트렌드가 오는 쪽으로 가셔야겠습니다. 핀테크 업체들의 진격이 두드러지네요. 미국은 이미 핀테크 업체의 천국인데, 확실히 우리나라는 늦습니다. 이 온갖 규제들 좀 완화해야 새로운 유니콘들이 많이 탄생할 수 있지 않을까 하네요. 연금의 중요성은 아마 다들 잘 아실겁니다. 제 글중에 퇴직연금을 왜 잘 불려야 하는지도 정리해 드렸죠. 퇴직연금도 내 돈입니다. 주식관련 자산들이 많이 투자되어 있으니 꼭 챙기시고, 최근에는 수수료 면제도 많이 있어요. https://moneyfree.tistor..

삼성서울병원에서 놀기_Amy's coffee/커피숍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번에 이어 우리나라 최고의 병원 중 하나인 삼성서울병원(일원동) 근처에서 놀기 입니다. 삼성병원은 시설은 최고인데 문제가 하나 있죠. 내부 편의 시설이 진짜 꽝이라는 겁니다. 내부의 푸트 코트는 항상 붐비고, 제대로 쉴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커피숍도 없습니다. 아티제도 푸트코트와 자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정말 앉아서 느긋하게 내근 할 수 있는 분위기도 아니죠. 대체 이 큰 병원에 편의시설이 왜 이모양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저라면, 의료기기 상점 하나 파내고 스타벅스 하나 유치해서 대박 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어쨌든 이런 상황에서 그럼 어디에서 적절히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까요? 삼성서울병원의 장점은 셔틀이 일원역까지 자주 다닌다는 겁니다. 매 8분마다 다니죠. 그래서 지하철 ..

6월10일 바이오,제약뉴스_알츠하이머(바이오젠)신약논란, 20가폐렴구균백신(화이자)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 공유 드립니다. 백신 접종에 대해서 계속 얘기가 나오고 있죠.. 아 저도 맞고 싶은데 계속 예약이 안되네요. ㅠ.ㅠ. 누가 저좀 맞춰 주실 수 없을까요.. 흑.. 알츠하이머 신약에 대해서 사실 허가가 난 건 좋은 일이긴 하지만, 약물의 효능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의구심이 많습니다. 유력 의학매체인 STAT 에서도 그렇고 금번 FDA 의 결정에 대해서 많은 이견을 표하고 있네요. 일부 FDA 자문의원은 사퇴했다는 말도 나옵니다. 사실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환영할만한 일이긴 하지만, 거의 5천만원에 달하는 약값이 정당화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듯 하네요. 폐렴구균20가 백신인가요, 대단합니다. 점점 좋은 약들이 나오고 있네요. 역시 제약,바이오업이 최고입니다..

주식 3분 리뷰 _LG유플러스(중간배당공시 & 사상 첫 자사주 매수)

안녕하세요 오늘 LG 유플러스가 창사 이래로 첫 자사주 1000억원을 매수한다고 공시했네요. 추가로, 기존 연간 배당에서 중간 배당도 첫 도입한다고 합니다. 즉, 중간배당 한 번, 연말 배당 한 번 이렇게 2번 받게 되는 거지요. 역시 최근 ESG 트렌드에 맞춰 LG 유플러스도 본격적인 주주가치 증대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보다 유독 저평가를 받고 있었죠, 코리아디스카운트라고도 했습니다. 처음에는 북핵문제를 원인으로 얘기했지만, 제가 볼때는 그것 보다는 주주가치제고에 대한 철저한 무관심이 이런 코리아디스카운트를 발생시켰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분위기가 완전 달라졌죠. 삼성전자도 분기 배당에 특별 배당에, 온갖 회사들이 ESG 추세에 맞춰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한 ..

가이드포인트(Guidepoint)로 돈벌기_340 USD

안녕하세요 슬슬 코로나 백신을 고객들이 맞아가는 요즘, 저녁 활동들이 늘어나고 있죠. 고객 접대도 해야 하고, 기타 행사들도 생기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서도 지난 번에 말씀드렸던 가이드포인트 자문의 기회가 들어와서, 한 밤중에 진행하였지요. 영어로 떠들어야 하고, 밤늦은 시간에 하느라 졸려 죽을 뻔했습니다. 상대방이 미국에 있다나.. 혹시 가이드포인트가 뭔지 궁금하신 분은 지난 번에 작성한 글 참고해주세요. https://moneyfree.tistory.com/103 Guidepoint (가이드 포인트) 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약업에 좀 오래 계셨던 분들은 한 번쯤 연락이 오거나, 혹은 들어보셨던 가이드 포인트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가이드 포인트는 뉴욕에 본사를 둔 전문가네트..

6월9일 돈버는 경제기사_금리인상, KB금융, 삼성전자,두산중공업,인플레이션, 배당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신문입니다. 동학개미의 수익률이 낮다는 기사네요. 음. 개인적으로 이런 기사는 아무 의미 없는 기사인 것 같습니다. 주식 중 좋은 종목은 정말 많고, 중요한 건 얼마나 싸게 사는냐의 문제인 것 같네요. 경기민감주와 성장주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좋은 종목 사서 그냥 눌러 앉으심 되겠습니다. 테이퍼링에 대한 논의입니다. 미국의 고용율도 좋아지고 있고, 한국은행도 계속 얘기가 나오고 있죠. 적절한 인플레이션은 오히려 경기와 회사들에 좋습니다. 급격한 금리 인상만 아니라면 걱정할 필요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래도, 금리 오르면 수혜 받는 회사들이 있으니 보시는 건 좋아보입니다. 중간배당의 계절이 슬슬 다가오면서 배당 많이 주는 회사에 대해 관심을 가져볼 만 하겠습니다. 어제는 LG 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