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r 119

8월24일 돈버는 경제뉴스_ 고령화, 영끌규제,미래에셋그룹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 뉴스 입니다. 요새 바빠서 저도 신문을 제대로 못 보고 있었는데, 매일 매일 빼먹지 말고 이렇게라도 글을 남기면서 읽어야겠습니다. 한국의 근로자 평균연령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죠. 당연한 얘기입니다. 국가가 늙어가고 있으니.. 저희 회사도 어느새부터 신입사원을 보기 힘듭니다. 다 경력직, 혹은 채용이 없어 그대로 있는 분들이 계속 나이들어가고 있죠. 왜 출산율이 세계에서 유래없이 낮을까요? 생각없는 정치인들 때문입니다. 왜 아이를 갖지 않는지에 대한 깊은 생각은 하지 않고, 단순히 1명 낳으면 얼마 라는 식의 생각을 하는 이상은 절대로 인구는 늘지 않습니다. 물론 주거에 대한 걱정도 있지만, 과연 그게 전부일까요? 육아/출산휴가 가면 주위에서 느껴지는 따가운 시선, 그 사이 누군가..

8월18일 바이오,제약뉴스_모더나굴욕, 코로나 치료제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입니다. 2Q 제약 영업실적, 선전했지만... (헬스조선 2021/08/18) 보유어 : 녹십자 모더나 굴욕 벗어날 핵심은 토종백신 개발...지표개발 관건 (메디칼타임즈 2021/08/18) 보유어 : 제넥신, SK l 기자 : 황병우 "14억명 시장 뚫어라"...K-바이오, 중국 공략 가속화 (데일리팜 2021/08/17) 보유어 : 뮤코다당증, 엘라프라제, 헌터라제, 녹십자, 샤이어, 헌터증후군, 헌터, 뮤코다당, 진동규, 삼성서울병원 l 기자 : 안경진 K-코로나 치료제 6개월 넘게 '무소식' (EBN 2021/08/17)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김신혜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 백신’의 임상 3상 쟁점 3개는? (시사저널e 2021/08/17) 보유어 : ..

중간 배당의 즐거움_LG유플러스, KB금융지주,삼성전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치투자를 하는 분들의 희소식인 배당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주가는 참으로 천천히 움직이죠, 그런 와중에서 등락을 오가니 마음은 점점 불안해 집니다. 내리면 팔고 싶고, 오르면 사고 싶고. 주식은 정신력이 중요하다는 것도 이해는 갑니다. 특히, 7,8월에 주가가 계속 지지부진 하고 있죠. 계좌가 파란불로 바뀌면 마음이 심난합니다. 그럴 때 배당은 가뭄에 단비같은 존재로 다가 옵니다 . 일단 어느 정도의 확정 수익을 발생시키죠. 장기적으로 보면 주가는 우상향하는 것이 확실하지만 그래도 그런 긴 여정을 견딜 수 있는 힘을 줍니다 . 내가 연평균 5-7%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는데, 반기 배당으로 이미 1% 를 준다면 난 이미 목표 수익의 15-20%수익을 확정짓고 가는 거죠. 소소한 용돈 같..

8월11일 바이오, 제약뉴스_ 코로나백신국산화, mRNA, SK 바이오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 입니다. 화이자, 모더나 백신들의 가격 상승이 참 어마어마 하네요. 모더나는 만성 적자 기업이었는데 한 방에 돈방석입니다. 국산화 꼭 필요하겠습니다 !! 3차 코로나19치료제ㆍ백신임상지원공모, 'HK이노엔ㆍ큐라티스'만.. (메디소비자뉴스 2021/08/10) 보유어 : 제넥신 l 기자 : 김진우 GC녹십자, 4중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 맥스' TV광고 공개 (세이프타임즈 2021/08/10)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신승민 HK이노엔·큐라티스, 올해 첫 코로나19백신 임상지원 (메디칼트리뷴 2021/08/10) 보유어 : 제넥신 l 기자 : 김준호 국내 빅5 제약사, 하반기에도 매출 증대 이어질까? (시사저널e 2021/08/10) 보유어 : 넋십자 l 기자 :..

8월10일 바이오,제약뉴스_FDA 바이오시밀러 교차처방 허용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입니다. 재밌는 기사들이 많네요 ^^ '급여 적정성 없다' 결과 나오자...경쟁사 '기회 잡아라' (뉴스더보이스 2021/08/10)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엄태선 FDA, ‘글라지아’ 오리지널과 상호 교체 가능 승인 (약업신문 2021/08/09)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김정일 GC녹십자헬스, 계열사 헥톤프로젝트 '실버타운' 정보 제공 (메디소비자뉴스 2021/08/09)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김진우 모더나, 8월 백신공급 물량 절반 이하 제공 통보…정부, 관련 대.. (메디컬월드뉴스 2021/08/09)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김영신 미 폼페병 ERT 치료제 승인 (의학신문 2021/08/09) 보유어 : 폼페병 l 기자 : 김자연 사노..

8월9일 돈버는 경제뉴스_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반도체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뉴스입니다. 한은에서 금리인상 빠르면 8월에도 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네요. 금리 상승하면 대출금리는 즉각적으로 올라갈테고, 그만큼 빚투 하는 분들은 조심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반면 금융,보험주들은 NIM 이 올라가면서 수익이 개선될 예정이네요. 벌써 오늘부터 주요 은행주는 오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에 대해서는 뭐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이미 주요 공산품들이나 농산물들의 가격은 급상승하고 있죠. 식품,소비재들의 상승이 예상됩니다. 가격이 오르는 걸 막을 수는 없으니, 그만큼 수혜를 보는 기업들을 매수해서 헷징을 하는 게 바람직해 보입니다. 가만히 앉아서 물가상승 탓만 하고 있는 것 바보짓입니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D램이 DDR5로 빠르면 연말부터..

8월9일 바이오,제약뉴스_백신개발, SK바이오,mRNA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 입니다. 월요일이네요 ㅎㅎㅎ 기운내세요! 2.2조원 백신개발·생산 지원 '누가 수혜'…SK바이오 첫 대상 될.. (에너지경제신문 2021/08/08) 보유어 : 녹십자, SK l 기자 : 유예닮 사이토카인 계열 면역항암제의 현황과 미래 (헬스오 2021/08/08) 보유어 : 젠자임, 화이자 l 기자 : 정종호 FDA, 사노피의 폼페병 치료제 '넥스비아짐' 승인 (뉴스더보이스 2021/08/07) 보유어 : 젠자임, 폼페병, 효소대체요법 l 기자 : 주경준 길리어드 계열 카이트파마, 아피아바이오에 최대 8억7500만달러 .. (헬스오 2021/08/07)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정종호 C19 '한국산 1호 백신' 개발‥백신 5대 강국 도약 추진 (보건타임즈 20..

8월5일 바이오,제약뉴스_희귀질환, 스푸트니크,mRNA 국산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 공유 드립니다. GC녹십자랩셀 자회사 그린벳, 마미닥터와 업무협약 (헬스포커스뉴스 2021/08/05)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장영식 ‘희귀질환 파이프라인’ 키우는 제약바이오업계 (이투데이 2021/08/05) 보유어 : 헌터라제, 녹십자, 헌터 l 기자 : 박미선 Big5 제약사,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율 급감 (의약뉴스 2021/08/04)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송재훈 EU 집행위, 스푸트니크V 산마리노 백신접종 증명서 인정…승인 .. (핀포인트뉴스 2021/08/04) 보유어 : 이수앱지스, 화이자, SK l 기자 : 김예슬 글락소-젠자임-얀센-노바티스, 8월 13품목 특허목록 삭제 (뉴스더보이스 2021/08/04) 보유어 : 젠자임, 젠자임코리아 l 기자..

8월4일 바이오,제약뉴스_mRNA 백신, 화이자,모더나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입니다. !!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 “국내 mRNA 백신 개발 초기 단계…장기적 지원 필수” (약업신문 2021/08/04) 보유어 : 녹십자, SK l 기자 : 김정일 종근당 수탁제조 ‘네오칸데플러스정’ 보험급여 중지 해제 (약업신문 2021/08/04) 보유어 : 녹십자 5대 제약사 합산 분기수출액 1719억, 녹십자가 절반 (의약뉴스 2021/08/03)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송재훈 GC녹십자랩셀 자회사 그린벳, 마미닥터와 반려동물 펫푸드 사업 .. (베타뉴스 2021/08/03)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강규수 녹십자, 세포 치료제에 진심…계열사 합병 시너지 극대화 (아시아경제 2021/08/03) 보유어 : 녹십자 l 기자 : 박형수 먹는 ..

8월3일 바이오,제약뉴스_ 코로나백신 가격인상 !!

안녕하세요 오늘의 바이오, 제약뉴스입니다. 화이자,모더나가 백신 가격인상에 들어갔네요. 역시. 자본주의 입니다. 화이자/모더나 주가 많이 오르겠네요. ^^; 이래서 백신을 포함한 의학품의 주권이 필요한 겁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단순 카피약이 아니라 정말 R&D를 하는 기업들을 정부 차원에서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카피약의 허가를 제한하고 대신 많은 쉐어를 먹는 대신 약가를 지금보다 더 낮게 책정해야 하겠죠. 그래야 박리다매를 통한 일정 부분의 마진을 확보하면서 건강보험재정의 절약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절약된 재정은 다른 보장 범위를 확대하거나 혹은 일정 부분 재투자를 하는 것도 좋아 보이구요. 건보 재정의 적자폭을 줄인만큼 그 돈을 R&D 에 투자하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