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뉴스입니다.
한도를 적게 썼다고 한도를 줄인다고 하네요. 자본주의 맞나요 ㅋ 부채가 높아지면 신용도나 상환능력이 낮은 사람들을 관리해야지 무조건 다 줄여버리다니요. 금융당국이 정신이 없나 봅니다. 대한민국 사회주의 가나요 ㅎㅎ
최근 카카오가 공격적으로 확대를 하고 있었는데, 특히 영향을 많이 받겠네요. 얼마전에 p2p 상품 판매 중단을 선언한 것도 이와 관련된 것 같습니다. 요새 금융당국은 제대로 하는 게 없는 것 같습니다. 공무원집단 말고 제대로 된 전문가를 선임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미국 금리 인상 바로 안합니다. 지금 부채가 사상최고인데 지금 금리를 인상할 이유가 없죠. 테이퍼링을 통해 통화증가율을 낮출 순 있겠지만, 금리는 아직 시기상조입니다.
중국은 사업하기 어려운 곳입니다. 자국중심주의에 특허에 대한 인식도 낮고, 자국 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도 불사하죠. 최근 알리바바, 텐센트 등 공산당에 거스르면 어떻게 되는지 잘 보여줬습니다. 투자는 신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리츠가 커지는 군요. 바람직합니다. 부동산에만 깔려 있는 돈들이 좀 자본시장으로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은행예금보다는 주식투자가 기본이 되어야하겠습니다.
반응형
'병원 대기실에서 읽을 거리들 > 경제를 알자 (경제 기사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14일 돈버는 경제뉴스_직장인 유리지갑 강탈, 금리상승, 친환경플라스틱(CJ제일제당) (0) | 2021.09.14 |
---|---|
9월9일 돈버는 경제뉴스_코로나청구서,디즈니, 헤지펀드공격 (0) | 2021.09.09 |
9월7일 돈버는 경제뉴스_인플레이션, 낙폭과대주, 후불결제 (0) | 2021.09.07 |
9월6일 돈버는 경제뉴스_문송합니다, 대출금리상승,암울한 채용시장 (0) | 2021.09.06 |
9월3일 돈버는 경제뉴스_물가인상 vs 금리인상, 어이없는 금융위와 산은 (0) | 2021.09.03 |